[앵커]
그럼 여기서 앞으로 한반도 전체에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한-중 정상 회담 내용을 다시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두 정상은 북한 비핵화가 아니라 '한반도 비핵화'가 두 나라 이익에 부합한다고 합의했습니다. 왜 깔끔하게 북한 비핵화라고 하지 않고 대한민국까지 포함한 한반도 비핵화라고 했을까요? 아쉬운 대목이면서 대한민국과 중국 사이에 여전히 약간의 간격이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하기야 어떻게 한번에 100% 만족할수 있겠습니까?
강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중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유관' 핵무기 개발이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습니다. '관련된' 핵무기, 에둘러 표현하긴 했지만, 국제사회에서 거론하는 북핵을 지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성명은 또"한반도 비핵화 실현이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며, "비핵화를 위해 함께 노력한다"고 합의했습니다. 우리 측은 '북핵' 명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녹취] 박근혜 대통령
"우리 두 정상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북한의 핵보유는 용인할 수 없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하고"
[녹취] 시진핑 / 중국 국가 주석
"조선반도 비핵화를 실현하는 것을 견지하고"
중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혈맹, 북한의 체면을 살려주기 위해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해석도 있습니다.
[인터뷰] 박재영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중국은 북한 핵의 한반도 비핵화를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한다. 과거와 달리 정말로 적극적인 태도로 전환 됐다고 본다."
반면 '고개는 돌리되 등은 돌리지 않는다'는 북중 관계의 근본적 특수성을 직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 '한반도 비핵화'는 단순한 외교적 수사가 아니라 실질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중국으로선 북한 핵은 물론 한반도 주변에 배치된 미국의 핵 전력을 경계한 언급이라는 해석입니다.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은 아직은 갈 길 먼 한중 관계의 현주소이기도 합니다.
TV조선 강상구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